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진심
- 블로그사연
- 나이40
- 사이다전개
- 시어머니
- 자존감회복
- 기적은온다
- 실화에세이
- 엑티바이즈
- 불륜
- 명품독일PM쥬스
- 후희
- 불륜복수
- kidsenglish
- 리소트레이트
- alphabetlearning
- spellingwords
- 나이아신
- 현실복수극
- 알파벳배우기
- 위로
- 임신
- 가족
- 파워칵테일
- 우리집홈스쿨
- 아이와함께
- 생명
- 마흔의기적
- 컬러풀영어
- 가족의배신
- Today
- Total
시아자매 일상스토리
수능 수학, 진짜 잘하려면 무엇이 달라야 할까? 본문
"우리 아이가 수학을 너무 못해요."
"학원을 보내도 점수가 오르질 않아요."
이런 고민, 한 번쯤 해보셨죠?
하지만 문제는 아이가 수학을 못하는 게 아니라, 수학을 받아들이는 방식에 있습니다.
✅ 단 한 마디로 말하자면:"수능 수학에서 좋은 점수를 받고 싶다면, 문제 풀이를 외우지 말고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."
📌 수학을 '암기 과목'처럼 공부하는 아이들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공부합니다:
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풀고,
문제를 가장 빠르게 푸는 공식을 외우고,
해설지를 보며 풀이 방식을 '암기'합니다.
그 결과는요?
어떤 날은 2등급, 어떤 날은 4등급.
기출과 비슷하면 맞고, 새로운 유형은 손도 못 댐.
이유는 간단합니다. 문제를 이해해서 푸는 게 아니라, 기억력에 의존하기 때문입니다.
🧠 수학 공부란 무엇인가?수학을 진짜로 공부한다는 것은,
처음 보는 문제를
주어진 개념과 지식을 활용해서
생각을 통해 해결하는 과정입니다.
즉, 기억력이 아니라 사고력의 문제입니다.
"이 문제는 왜 이렇게 푸는 걸까?"
"왜 이 개념을 적용해야 할까?"
이런 질문을 스스로 던져보는 것이 진짜 수학 공부입니다.
🔥 최근 수능이 보여준 변화작년 수능 이후 많은 학생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:
"이건 불수능이 아니라 용암 수능이다."
"처음 보는 문제라 손도 못 댔다."
하지만 어떤 수학 강사는 이렇게 말했습니다:
"이번 수능, 역대급으로 쉬웠습니다."
도대체 왜?
기존의 기출 유형과 비슷하지 않았기 때문.
기억으로 푸는 학생들은 당연히 멘붕.
생각하는 힘을 기른 학생들은 오히려 쉽게 느꼈던 겁니다.
⚖️ 수능 수학, 핵심은 4점짜리 문제수능 수학은 1~30번까지 총 30문항.
이 중 4점짜리 문제는 13개.
무려 전체의 절반인 52점을 차지합니다.
이 4점짜리 문제에서 승부가 갈립니다.
하지만 지금까지의 수학 교육은?
4점 문제를 빠르게 푸는 요령만 반복적으로 학습.
기억으로 풀 수 있는 문제는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.
🧩 개념의 '진짜' 이해가 필요한 이유예: "2차방정식의 두 근이 모두 1보다 크다"는 조건이 나오면 학생들은 외웁니다:
함수값의 부호 확인
판별식 조건
꼭짓점 x좌표 범위
하지만 정작 물어보면:
왜 함수값의 부호를 따져야 하죠?
왜 판별식이 필요하죠?
왜 꼭짓점 조건이 필요한가요?
대부분은 대답 못 합니다. 이유는?
이해하지 않고, 암기만 했기 때문입니다.
📉 선행학습이 오히려 해가 되는 이유학원에서 빠르게 진도만 나가다 보면:
학생은 "빨리 풀면 된다"는 착각을 하게 됩니다.
문제는 패턴화되어 있고, 수학은 공식 암기로 착각하게 됩니다.
결과적으로:
사고력은 마비되고, 모의고사 평균이 20~30점대에 머무릅니다.
🧭 진짜 수학 공부의 방향문제를 스스로 풀어보는 경험을 해보세요.
남에게 설명할 수 있을 만큼 개념을 완벽히 이해하세요.
자녀가 풀고 있는 문제를 보고,
"왜 이렇게 푸는 거야?"
"이 조건은 왜 필요한 거야?"
라고 질문을 던져보세요.
아이가 "선생님이 그렇게 하랬어요" 라고 말한다면?빨간불입니다.
🎯 선행학습보다 중요한 것선행학습을 할지 말지는 부모가 결정할 문제가 아닙니다.
아이가 "배우고 싶다"고 스스로 말할 때 시작하세요.
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, 알고 싶어서 배우는 것이어야 합니다.
그런 학생은 결코 암기에만 의존하지 않을 겁니다.
💡 마무리: 수학을 잘하려면문제 풀이가 아니라 사고력 훈련이 핵심입니다.
설명하는 능력이 수학 실력입니다.
칠판을 사주세요. 아이가 설명하게 해보세요.
질문하세요. "왜 그렇게 푸는 거야?"
https://youtu.be/fGda2LXHRYQ?si=pgKli0490TIL84D8
#수능수학 #사고력수학 #개념이해 #수학공부법 #선행학습폐해 #수학잘하는법 #자기주도학습 #공부습관 #학부모팁 #수학강의정리
'초등학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🎒 4세~7세, 공부보다 중요한 것들 (1) | 2025.05.24 |
---|---|
📘 사춘기, 반항 아닌 ‘성장’입니다 (0) | 2025.05.24 |
미국 외교관들이 쓰는 영어 학습법, 우리도 할 수 있다! (0) | 2025.05.18 |
영어, 정말 그렇게 어려운 걸까요? – 우리가 오해하고 있는 영어 4가지 (0) | 2025.05.18 |
영어가 어려우신가요? 이 방법으로 달라집니다 – 영어 유창성 유튜브 강의 정리 (0) | 2025.05.18 |